인간의 욕구와 사회적 위험
1. 인간의 욕구: 개념과 계층적 구조
인간의 욕구는 특정 상황에서 목적 달성에 필요한 조건이나 대상의 결핍 상태로 정의되며, 사회복지는 이러한 기본 욕구를 사회 최저 기준 이상으로 충족하는 데 관심을 둡니다.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은 욕구의 계층적 구조를 체계화했습니다:
욕구 단계 | 주요내용 |
생리적 욕구 | 음식, 물, 공기 등 생존에 필수적인요소 |
안전의 욕구 | 신체적, 경제적 안정성 추구 |
소속감과 사랑 욕구 |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소속감 충족 |
존중의 욕구 | 타인과 자신으로부터의 인정 및 자아존중감 |
자아실현의 욕구 | 잠재격 발휘와 자기성취 |
사회복지는 모든 개인이 공통적으로 갖는 생존과 자립에 필수적인 기본 욕구에 집중하며, 특히 사회적 욕구(사회 구성원 다수가 경험하는 괴리 상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2. 사회적 위험: 유형과 변화 양상
사회적 위험은 개인의 능력만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삶의 불확실성으로, 소득 상실이나 지출 증가를 초래합니다. 전통적 위험(구사회적 위험)과 신사회적 위험으로 구분됩니다:
-전통적 위험: 산업화·도시화로 인한 실업, 질병, 노령, 사망 등.
-신사회적 위험: 탈산업화·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고령화, 청년실업, 경력단절 여성 문제 등.
신사회적 위험의 특징은 개인화·다양화, 장기화·만성화, 복합적 누적성입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는 의료 위기뿐 아니라 경제적 불안정성 확대를 통해 사회적 위험으로
작용했습니다.
3. 사회복지의 대응 체계
-욕구 충족 메커니즘:
-규범적 욕구(전문가 승인), 느끼는 욕구(주관적 인식), 표현된 욕구(요구 행동) 등을
구분하여 접근.
-공적 지원을 통해 생리적·안전 욕구 등 하위 단계 충족 우선.
-위험 관리 전략:
-전통적 위험: 사회보험(건강보험, 연금 등)을 통한 소득 보장.
-신사회적 위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다문화가족, 노인 돌봄 서비스 등).
"복지국가의 핵심 기능은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이는 헌법 제34조의 '인간다운 생활 권리' 실현과 직결됩니다.
4. 현대 사회복지의 과제
-욕구의 고도화: 사회경제적 수준 향상에 따라 자아실현 욕구 등 상위 단계 요구 증가.
-위험의 복합성: 고령화+청년실업 등 중첩적 위험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필요.
-자원 한계: 모든 개인적 욕구 충족 불가능성으로 인한 사회적 욕구 선별의 어려움.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의 기능 (0) | 2025.06.26 |
---|---|
아동복지정책 (1) | 2025.06.23 |
아동발달 정신분석관점 (1) | 2025.06.19 |
사회복지정책의 특성 (1) | 2025.06.17 |
아동발달의 이론 (2) | 202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