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아동발달 정신분석관점

by picnicfarm 2025. 6. 19.
반응형

정신분석이론의 핵심 개념

 

1. 의식 구조: 의식, 전의식, 무의식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구분합니다.

-의식: 현재 인식하고 있는 생각과 감정

-전의식: 주의를 기울이면 의식으로 떠올릴 수 있는 기억과 경험

-무의식: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깊은 곳에 잠재된 본능, 억압된 관념, 감정 등

무의식은 인간 행동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며, 특히 아동기 초기의 경험이 무의식에 저장되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2. 성격 구조: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원초아(id): 생물학적 본능과 충동의 원천으로,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는 원시적이고 비논리적인 성격 요소. 완전히 무의식적입니다.

-자아(ego): 원초아의 욕구와 현실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하며, 현실 원칙에 따라 행동을

조절합니다. 출생 후 현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합니다.

-초자아(superego): 도덕성과 사회적 규범을 내면화한 양심으로, 부모와의 상호작용에서

보상과 처벌을 통해 발달하며, 3~4세 이후 본격적으로 성장합니다.

 

3. 방어기제

자아는 불안과 갈등을 다루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억압, 합리화, 투사, 동일시 등)를 사용합니다. 이는 아동이 심리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는 무의식적 심리적 전략입니다.


심리성적 발달단계

프로이트는 아동의 발달을 리비도(성적 에너지)가 집중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며, 각 단계에서 충분한 만족이나 지나친 좌절은 고착(fixation)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구강기(0~1)

-쾌락의 원천: , , 입술 등 구강 부위

-주요 활동: 수유, 빨기, 씹기

-어머니와의 애착 형성

-과도한 만족이나 좌절 시 의존성, 공격성, 흡연, 과식 등 고착 현상 발생 가능.

2. 항문기(1~3)

-쾌락의 원천: 항문

-주요 활동: 배변 훈련

-자율성과 통제력 발달

-지나친 통제나 방임 시 강박적 성격, 무질서, 완고함 등 고착 현상 발생 가능.

3. 남근기(3~6)

-쾌락의 원천: 성기

-주요 심리적 현상: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남아), 엘렉트라 콤플렉스(여아)

-동성 부모와의 경쟁과 동일시를 통해 성역할 학습

-고착 시 성적 정체성 혼란, 과도한 죄책감 등 문제 발생 가능.

4. 잠복기(6~12)

-성적 에너지가 억압되어 비교적 평온한 시기

-지적 탐구, 사회성, 학습 능력 발달

-학교생활과 또래 관계를 통해 사회적 기술 습득.

5. 생식기(12세 이후)

-성적 에너지가 다시 활성화되어 이성에 대한 관심이 생김

-성숙한 애정과 이타심 발달

-순조로운 발달 시 건강한 성인기로 진입.


아동복지론에서의 시사점

 

-초기 경험의 중요성 강조

아동기 초기의 양육 환경과 부모와의 관계가 아동의 성격과 정서 발달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특히 구강기와 항문기에서의 적절한 만족과 좌절, 그리고 남근기에서의 동일시 경험이 건강한 자아와 초자아 발달에 필수적입니다.

 

-방어기제와 문제 행동 이해

아동의 문제 행동이나 부적응 현상은 무의식적 갈등과 방어기제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억압, 퇴행, 투사 등 무의식적 방어기제는 아동이 심리적 스트레스를 다루기 위한 수단이므로, 표면적인 행동보다 그 이면의 심리적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정적 애착과 자율성 지원

구강기와 항문기에서의 신뢰감, 자율성 형성은 건강한 자아 발달의 기반이 됩니다. 아동복지 실천에서는 양육자가 아동의 욕구를 적절히 충족시키고, 자율성을 존중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성역할 정체성과 사회성 발달

남근기와 잠복기에서의 동일시 경험과 또래 관계는 아동의 성역할 정체성과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학교와 가정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 향상에 기여합니다.

 

-무의식적 동기와 상담 접근

아동의 문제 행동이나 심리적 어려움은 무의식적 동기와 초기 경험에서 비롯될 수 있으므로, 상담 및 치료 과정에서 무의식적 갈등을 탐색하고 해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신분석이론의 한계와 보완점

정신분석이론은 아동발달의 무의식적 측면과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사회적·문화적 요인, 인지적 발달, 환경적 영향 등 다른 요소를 상대적으로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아동의 심리적 문제와 성격 형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틀을 제공합니다.

반응형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복지정책  (1) 2025.06.23
인간의 욕구와 사회적 위험  (1) 2025.06.20
사회복지정책의 특성  (1) 2025.06.17
아동발달의 이론  (2) 2025.06.12
사회복지조사론에서 계량적 자료 분석  (1) 2025.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