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의 기능

by picnicfarm 2025. 6. 26.
반응형

사회복지실천의 기능

 

1. 사회적 기능의 회복(복원)

-사회복지실천은 개인, 집단,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로 인해 상실한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거나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둔다. 예를 들어, 정신적·신체적 장애, 가족해체, 빈곤,

폭력 등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나 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상담, 치료,

재활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개별화된 개입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2. 자원의 제공 및 연결

-사회복지실천은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거나, 클라이언트가 자원체계와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중개하는 기능을 한다. 가난, 질병, 장애 등으로 인해 사회적 자원에

접근하기 어려운 이들에게 물질적·정서적 지원을 제공하고, 지역사회 내 다양한 서비스

기관과 연결해 준다..

사회복지사는 중개자로서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서비스나 자원을 찾아내고, 그 활용 방법을 안내하며,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새로운 자원을 창출하거나 대안을 모색한다.

 

3. 사회적 역기능의 예방

-사회복지실천은 사회적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는 역할도 한다. 예를 들어, 아동학대, 노인 학대, 학교폭력, 가정폭력 등 사회적 병리현상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 교육, 상담, 홍보,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문제 발생을 미리 차단한다.

예방적 개입은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의 건강한 유지를 도모하며,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연계된 기능

사회복지실천의 궁극적 목적은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이다.

 

-개인의 문제해결 및 대처 능력 증진: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지지와 교육, 상담 등을 제공한다.

 

-자원체계와 개인의 연결: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서비스와 자원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중개한다.

 

-체계의 효과적 운영: 사회복지기관이나 서비스 체계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기획, 감독, 자문 기능을 수행한다.

 

-사회정책 개발 및 변화 촉진: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정책 개선에 기여하고,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사회정의 실현에 앞장선다.


사회복지사의 역할

-조력자: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상담, 교육, 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개자: 클라이언트와 자원체계를 연결하고, 서비스 이용을 돕는다.

-옹호자: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이익을 대변하고,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위해 노력한다.

-프로그램 개발자: 지역사회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한다.

-행정가: 기관 내 행정업무와 서비스 관리, 직원 교육 등을 담당한다.

-연구자: 사회문제와 서비스 효과성을 연구하여 실천에 반영한다.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현장(병원, 학교, 복지관, 교도소 등)에서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문제에 맞는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 전체의 복지 증진과 사회통합에 기여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