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본추출과 표집
사회복지조사는 사회 현상과 복지 문제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연구 방법입니다. 이러한 조사에서 중요한 과정 중 하나가 바로 ‘표본추출’과 ‘표집’입니다.
표본추출과 표집의 개념
-표본추출이란?
표본추출(sampling)이란 전체 조사 대상 집단(모집단)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조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모집단은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전체 집단을 말하며, 표본은 그중에서 실제로 조사에 참여하는 대상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한 도시의 노인 복지
실태를 조사한다면, 그 도시의 모든 노인이 모집단이고, 실제로 설문에 응답하는 일부 노인이 표본입니다.
-표집이란?
표집(sample collection)은 표본을 실제로 선정하고 수집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의미합니다. 표본추출이 이론적이고 계획적인
단계라면, 표집은 실질적으로 표본을 모으는 실행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표본추출의 필요성
사회복지조사는 시간, 비용, 인력 등의 한계로 인해 전수조사(모집단 전체를 조사하는 것)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표본조사를 통해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하게 됩니다.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어야만 조사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됩니다.
잘못된 표본추출은 왜곡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표본추출이 필요합니다.
표본추출의 방법
표본추출 방법은 크게 확률표본추출과 비확률표본추출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확률표본추출
확률표본추출은 모집단의 모든 구성원이 표본으로 선택될 확률이 동일하게 주어지는 방법입니다. 대표성이 높아 사회복지조사에서 선호되는 방식입니다.
-단순무작위표본추출: 모집단의 모든 구성원에게 동등한 선택 기회를 부여하여 무작위로 표본을 선정합니다. 예를 들어, 명부에서 무작위로 번호를 뽑는 방식입니다.
-체계적 표본추출: 모집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표본을 선정합니다. 예를 들어, 명부에서 10번째마다 한 명씩 뽑는 방법입니다.
-층화표본추출: 모집단을 성별, 연령 등 특정 기준으로 층화 한 뒤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뽑는 방식입니다.
다양한 집단의 특성을 고르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집락표본추출: 모집단을 여러 집락(Cluster)으로 나누고, 일부 집락을 무작위로 선정한 뒤 그 안의 모든 구성원을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지역사회 조사 등에서 활용됩니다.
2. 비확률표본추출
비확률표본추출은 표본이 무작위로 선정되지 않는 방식으로, 대표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편의표본추출: 연구자가 접근하기 쉬운 대상을 표본으로 선정합니다.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지만 대표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판단표본추출: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표본을 선정합니다. 특정 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을 선정할 때 사용됩니다.
-할당표본추출: 모집단의 특성 비율에 맞추어 표본을 할당합니다. 예를 들어, 남녀 비율이 6:4라면 표본도 이 비율에 맞추어
선정합니다.
-눈덩이표본추출: 초기 표본이 추가 표본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접근이 어려운 집단(예: 노숙인, 마약중독자) 조사에 적합합니다.
사회복지조사에서의 표본추출과 표집의 실제
사회복지조사에서는 표본추출과 표집의 적절성이 조사 결과의 신뢰도를 좌우합니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 아동의 복지 실태를 조사할 때, 지역별, 연령별, 성별로 층화표본을 적용하면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반면, 접근이 어려운 노숙인 집단을 조사할 때는 눈덩이표본추출이 효과적입니다.
표집 과정에서는 선정된 표본이 실제로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접근성과 윤리적 배려가 필요합니다. 표본의 응답률이 낮을 경우, 추가 표집이나 보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표본추출과 표집의 유의점
대표성 확보: 표본이 모집단을 잘 대표해야만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표본 크기 결정: 표본이 너무 작으면 신뢰도가 낮아지고, 너무 크면 자원이 낭비됩니다. 적정 표본 크기를 산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표본오차 관리: 표본추출 과정에서의 실수, 응답자의 거짓 응답 등 비표본오차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윤리적 고려: 표본 선정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윤리적 원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사회복지조사에서 표본추출과 표집은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결정짓는 핵심 과정입니다. 모집단을 잘 대표하는 표본을 선정하고, 체계적으로 표집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표본추출 방법의 특성과 한계를 이해하고, 조사 목적과 현실적 여건에 맞는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0) | 2025.05.21 |
---|---|
욕구조사의 방법 (1) | 2025.05.20 |
설문조사의 방법과 유형 (0) | 2025.05.16 |
전실험조사설계 (0) | 2025.05.15 |
유사실험조사설계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