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실험조사설계
전실험조사설계의 개념
전실험조사설계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분이나 무작위 배정(random assignment)과 같은 엄격한 통제 절차 없이,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프로그램이나 개입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 설계입니다. 즉, 실험적 논리를 일부만 적용하여 인과관계를 탐색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실험설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실험조사설계는 연구자가 통제할 수 있는 요인이 적고, 외생변수의 영향을 충분히 통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지만, 연구 준비가 부족하거나 현장 상황상 엄격한 실험설계가 어려울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전실험조사설계의 주요 유형
1. 단일집단 사후조사설계(One-Shot Case Study)
단일집단 사후조사설계는 한 집단에 대해 어떤 처치(프로그램, 개입 등)를 한 후, 사후에만 결과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한 지역아동센터에서 새로운 독서 프로그램을 시행한 뒤, 프로그램 종료 후 아동들의 독서태도나 독서량을 조사하는 경우
입니다. 이 설계는 사전조사가 없기 때문에, 프로그램 도입 전과 후의 변화를 비교할 수 없으며, 외생변수의 영향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2. 단일집단 사전-사후조사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단일집단 사전-사후조사설계는 한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도입 전(사전)과 도입 후(사후)에 각각 조사를 실시하여, 변화의 정도를 비교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한 노인복지관에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노인들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경우입니다. 이 설계는 사전조사를 통해 변화의 방향과 크기를 파악할 수 있지만, 통제집단이 없으므로 외생변수(시간의 흐름,
환경 변화 등)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3. 비동등집단 사후조사설계(Static-Group Comparison)
비동등집단 사후조사설계는 두 개 이상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집단에는 처치를 하고 다른 집단에는 처치를 하지 않은 후, 사후에만 결과를 비교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한 지역의 A복지관에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인근 B복지관에서는 시행하지
않은 뒤, 두 집단의 결과를 비교하는 경우입니다. 이 설계는 두 집단의 사전 상태가 다를 수 있으므로, 집단 간 차이가 프로그램의
효과 때문인지 원래의 차이 때문인지 구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실험조사설계의 장점
전실험조사설계는 구조가 단순하고,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며, 연구 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사회복지 현장처럼 연구 환경이 복잡하고 통제가 어려운 곳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빠르게 탐색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또한, 연구 초기에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파악하거나, 본격적인 실험설계에 앞서 예비조사로 활용하기에도
적합합니다.
전실험조사설계의 단점
하지만 전실험조사설계는 엄격한 통제 절차가 없기 때문에, 내적 타당도가 매우 낮다는 치명적인 한계가 있습니다. 즉, 관찰된 결과가 실제로 프로그램의 효과인지, 아니면 외생변수나 우연에 의한 것인지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단일집단 사후조사설계에서는 프로그램 도입 전의 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변화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습니다. 단일집단 사전-사후조사설계 역시 시간의 흐름, 역사적 사건, 성숙 효과 등 외생변수의 영향을 충분히 배제하지 못합니다. 비동등집단 사후조사설계는 집단
간의 본질적인 차이(선택 편향)로 인해 결과 해석에 제한이 많습니다.
사회복지 현장에서의 적용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전실험조사설계를 활용해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의 효과를 간단히 평가하거나, 정책 도입 전 예비조사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아동복지센터에서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한 후 아동들의 태도 변화를 조사하거나,
노인복지관에서 건강 프로그램의 효과를 사전-사후로 측정하는 방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본격적인 실험설계로 나아가기 전,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실험조사설계는 사회복지조사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실험설계로, 복잡한 통제가 어려운 현장에서 프로그램이나
정책의 효과를 간단히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내적 타당도가 낮고, 외생변수의 영향을 충분히 통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결과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전실험조사설계는 예비조사나 탐색적 연구로서의 가치가 크며, 이후 더
엄격한 유사실험조사설계나 진실험조사설계로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신속하게 파악하고자 할 때, 전실험조사설계는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본추출과 표집 (0) | 2025.05.19 |
---|---|
설문조사의 방법과 유형 (0) | 2025.05.16 |
유사실험조사설계 (0) | 2025.05.15 |
순수실험조사설계 (0) | 2025.05.13 |
사회복지조사론 : 외적타당도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