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사회복지조사론 – 프로그램 평가조사의 목적과 유형

by picnicfarm 2025. 8. 13.
반응형

사회복지조사론 프로그램 평가조사의 목적과 유형

프로그램 평가조사는 그 효과성과 효율성을 검증하고, 개선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1. 프로그램 평가조사의 목적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는 단순한 만족도 조사가 아니라, 실제로 목표 달성 여부와 자원 활용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과정입니다.

    –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목표로 한 사회적 변화나 서비스 효과가 실제로 일어났는지 확인

   – 프로그램 개선 및 발전

      문제점과 성공 요인을 찾아 다음 운영 계획에 반영

   – 자원 효율성 평가

      투입된 예산, 인력, 시간 등이 적절히 사용되었는지 분석

   – 책임성과 투명성 강화

      이해관계자에게 성과를 보고하고 신뢰 확보

   – 정책 결정 및 확산 지원

      효과가 입증된 프로그램은 확대, 비효과적인 프로그램은 개선·중단

 

2. 프로그램 평가조사의 주요 유형

평가
유형
실시 시기 주요 목적 특징 예시
형성
평가
프로그램 계획,
실행 초반
문제점 조기 발견,
개선
실행 전·중 피드백 제공 노인요가 프로그램 시범 수업 후 피드백 반영
과정
평가
실행 중 진행 상황·절차
점검
참여자 특성,
서비스 질 분석
아동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주별 참여율·만족도 점검
성과
평가
실행 후 또는 중간 목표 달성 여부 확인 삶의 변화, 효과성 측정 취업 지원 프로그램 종료 후 6개월 취업률 분석
총괄
평가
프로그램
종료 후
전반적
가치·지속성 판단
비용-효과,
비용-편익분석포함
청소년 방과후 프로그램의 비용 대비 성과 분석
개발
평가
혁신
프로그램 전과정
변화와 적응 지원 실시간 피드백·
조정
사회문제 대응형 신규
서비스 실험 및 조정

 

 

3. 프로그램 평가조사 왜 중요한가?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평가는 운영을 잘했는가?’ 를 넘어

정말 도움이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객관적 평가를 통해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은 개선하여

더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평가조사는 복지 현장의 질을 높이고,

한정된 자원을 가장 필요한 사람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나침반과 같습니다.


💬 질문

여러분이 경험하거나 알고 있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중에서,

효과가 좋았던 사례와 그렇지 못했던 사례는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사회복지조사 #프로그램평가 #형성평가 #성과평가 #사회복지사 #조사방법론 #사회복지학 #평가 #과정평가 #사회복지연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