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 프로그램 평가조사의 목적과 유형
프로그램 평가조사는 그 효과성과 효율성을 검증하고, 개선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1. 프로그램 평가조사의 목적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는 단순한 만족도 조사가 아니라, 실제로 목표 달성 여부와 자원 활용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과정입니다.
–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목표로 한 사회적 변화나 서비스 효과가 실제로 일어났는지 확인
– 프로그램 개선 및 발전
문제점과 성공 요인을 찾아 다음 운영 계획에 반영
– 자원 효율성 평가
투입된 예산, 인력, 시간 등이 적절히 사용되었는지 분석
– 책임성과 투명성 강화
이해관계자에게 성과를 보고하고 신뢰 확보
– 정책 결정 및 확산 지원
효과가 입증된 프로그램은 확대, 비효과적인 프로그램은 개선·중단
2. 프로그램 평가조사의 주요 유형
평가 유형 |
실시 시기 | 주요 목적 | 특징 | 예시 |
형성 평가 |
프로그램 계획, 실행 초반 |
문제점 조기 발견, 개선 |
실행 전·중 피드백 제공 | 노인요가 프로그램 시범 수업 후 피드백 반영 |
과정 평가 |
실행 중 | 진행 상황·절차 점검 |
참여자 특성, 서비스 질 분석 |
아동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주별 참여율·만족도 점검 |
성과 평가 |
실행 후 또는 중간 | 목표 달성 여부 확인 | 삶의 변화, 효과성 측정 | 취업 지원 프로그램 종료 후 6개월 취업률 분석 |
총괄 평가 |
프로그램 종료 후 |
전반적 가치·지속성 판단 |
비용-효과, 비용-편익분석포함 |
청소년 방과후 프로그램의 비용 대비 성과 분석 |
개발 평가 |
혁신 프로그램 전과정 |
변화와 적응 지원 | 실시간 피드백· 조정 |
사회문제 대응형 신규 서비스 실험 및 조정 |
3. 프로그램 평가조사 왜 중요한가?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평가는 ‘운영을 잘했는가?’ 를 넘어
‘정말 도움이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객관적 평가를 통해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은 개선하여
더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평가조사는 복지 현장의 질을 높이고,
한정된 자원을 가장 필요한 사람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나침반과 같습니다.
💬 질문
여러분이 경험하거나 알고 있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중에서,
효과가 좋았던 사례와 그렇지 못했던 사례는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사회복지조사 #프로그램평가 #형성평가 #성과평가 #사회복지사 #조사방법론 #사회복지학 #평가 #과정평가 #사회복지연구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부조제도란? 사회복지학개론으로 쉽게 정리해봤어요 (0) | 2025.07.15 |
---|---|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의 과정 (0) | 2025.07.11 |
사회복지조사론: 조사의 목적과 과학에 대하여 (0) | 2025.07.10 |
사회복지실천의 기능 (0) | 2025.06.26 |
아동복지정책 (1)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