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단일사례조사

by picnicfarm 2025. 5. 8.
반응형

단일사례조사


사회복지조사론에서 단일사례조사(single-subject design, SSD)는 한 명의 클라이언트, 한 가족, 한 집단, 한 조직 등 단일 단위를 대상으로 개입 전후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관찰·분석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이는 임상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조사 설계로, 개입의 효과성을 실제 사례를 통해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가치가 높습니다. 단일사례조사는 주로 사회복지사가 특정 개입을 적용하기 전후의 변화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그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단일사례조사의 설계 과정
단일사례조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설계됩니다.
-표적 행동 선정: 연구의 목적이 되는 구체적이고 측정할 수 있는 행동이나 문제를 선정합니다. 명확한 개입 목표가 설정되어야 하며, 표적 행동이 무엇인지 분명해야 합니다.
-측정 도구 선정: 표적 행동을 관찰·측정할 수 있는 적합한 도구를 선정합니다. 행동 관찰, 자기 보고, 척도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기초선 관찰: 개입 이전의 상태를 반복적으로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합니다. 이 단계는 최소 3회 이상 반복 측정이 필요하며, 개입 전 상태와 개입 후 변화를 비교할 기준이 됩니다.
-개입 단계 관찰: 사회복지사가 실제로 개입을 실시하면서 표적 행동의 변화를 관찰합니다. 이 단계의 관찰 기간은 기초선보다 긴 것이 일반적입니다.
-연구유형 설정: 연구 목적에 따라 적합한 단일사례조사 유형을 선택합니다.

단일사례조사의 유형
단일사례조사는 설계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뉩니다.
-B조사 : 기초선 없이 개입과 동시에 조사가 시작됩니다.
-AB 조사 : 기본적인 설계로, 기초선(A) 관찰 후 개입(B)을 실시하여 변화를 비교합니다. 개입 효과를 명확히 볼 수 있으나, 외부 요인의 통제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ABAB조사 : 기초선-개입-기초선-개입의 순서로 반복하여 개입 효과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그러나 중간에 개입을 중단하는 것이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ABCD조사 : 하나의 기초선에 여러 개입(B, C, D 등)을 연속적으로 적용하여 각 개입의 효과를 비교합니다. 다양한 개입의 효과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나, 선행 개입의 효과와 혼재될 수 있습니다.
-복수 기초선 조사 : 동일한 개입을 여러 대상자(사례 간), 또는 한 대상자의 여러 문제(문제 간)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합니다. ABAB 설계보다 윤리적 문제는 적으나, 설계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단일사례조사의 결과 분석
단일사례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합니다.
-시각적 분석: 기초선과 개입 단계의 그래프를 통해 변화를 시각적으로 판단합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임상적 분석: 사회복지사가 개입 이후의 변화를 임상적으로 해석하고, 다른 사례나 개입 방법과 비교하여 실천적 함의를   도출합니다. 다만, 주관적 해석이 개입될 수 있습니다.
-통계적 분석: 평균 비교, 경향성 접근 등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개입의 효과를 수치로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개입

단계의 평균이 기초선 평균보다 표준편차의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면 의미 있는 변화로 간주합니다.
단일사례조사의 장점
-임상 현장에 적용이 용이하고, 치료 과정에 방해가 되지 않습니다.
-개입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의 지속적인 피드백이 가능합니다.
-개입 결과를 기초선과 비교하여 명확한 효과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단일사례조사의 단점
-결과의 일반화가 어렵고, 개입 단계마다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개입 중단 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부 요인의 통제가 어려워 개입 효과의 순수성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단일사례조사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개입의 효과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실천적 조사 방법입니다. 표적 행동의

명확한 선정, 체계적인 관찰과 측정, 다양한 설계 유형의 활용을 통해 개입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과의 일반화와 윤리적 문제 등 한계도 있으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방법과 함께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반응형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조사설계의 타당도  (0) 2025.05.10
실험조사설계  (0) 2025.05.09
신뢰도와 타당도  (0) 2025.05.07
측정과 척도에 대한 이해  (0) 2025.05.06
사회복지조사: 변수, 조사의 유형, 조사의 대상  (0) 2025.05.03